728x90
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
- 원시 자료형(primitive type)과 참조 자료형(reference type)의 구분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영상을 보고 이해할 수 있다.
-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의 차이를 이해하고, 각자 맞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.
- 원시 자료형이 할당될 때에는 변수에 값(value) 자체가 담기고, 참조 자료형이 할당될 때는 보관함의 주소(reference)가 담긴다는 개념을 코드로 설명할 수 있다.
- 참조 자료형은 기존에 고정된 크기의 보관함이 아니라, 동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특별한 보관함을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.
Scope
- 스코프의 의미와 적용 범위를 이해할 수 있다
- 스코프의 주요 규칙을 이해할 수 있다
- 중첩 규칙
- block scope와 function scope
-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
-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간의 우선 순위
- let, const, var 의 차이
- 전역 객체(window)의 이해
let vs var vs cosnt
- 클로저 함수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
- 클로저가 갖는 스코프 범위를 이해할 수 있다
- 클로저를 이용해 유용하게 쓰이는 몇 가지 코딩 패턴을 이해할 수 있다
'코드스테이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드스테이츠 - DOM (0) | 2021.04.26 |
---|---|
코드스테이츠 - koans (0) | 2021.04.23 |
코드스테이츠 css 중급코드스테이츠 css 중급 (0) | 2021.04.22 |
코드스테이츠 - 배열 (0) | 2021.04.19 |
코드스테이츠 git (0) | 2021.04.16 |